검색결과18건
자동차

BMW 7대 vs 벤츠 9대...수입차 1·2위 신차 경쟁

수입차 판매 1·2위 BMW코리아와 벤츠코리아가 올해 치열한 신차 경쟁을 예고했다.28일 수입차 업계에 따르면 메르세데스 벤츠코리아는 올해 국내 시장에 E클래스, CLE 쿠페, 전기 G클래스 등 총 9개의 신차를 출시, 수입차 1위 탈환에 나선다.지난해 브랜드별 등록대수는 BMW가 7만7396대, 벤츠가 7만6674대로 각각 1, 2위를 차지했다. 판매대수는 불과 722대의 근소한 차이를 나타냈다.벤츠의 신차 포문은 지난 19일 주력 모델 E클래스가 열었다. E클래스는 국내 고객에게 압도적인 지지를 받고 있는 모델이다. 10세대 E클래스의 경우 2016년 출시부터 지난해까지 8년 연속 국내 수입차 시장 베스트셀링 모델에 올랐다.새로 출시된 11세대 E클래스는 새로운 디지털 경험은 물론, 전 모델 전동화 기술 적용을 통해 향상된 주행 성능과 최첨단 안전 및 편의사양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이어 벤츠는 올해 상반기에 CLE 쿠페와 CLE 카브리올레를 선보인다. CLE 쿠페는 C클래스 쿠페와 E클래스 쿠페를 대체하는 모델이다. CLE 카브리올레는 CLE 쿠페에 기반한 오픈카 모델이다.벤츠는 또 하반기에 마이바흐 최초의 전기 SUV인 마이바흐 EQS SUV와 ‘전기 G클래스’를 출시한다. 신형 E클래스를 포함 총 5개의 완전변경 모델이 국내에 출시되는 셈이다.이와 함께 연내 4종의 페이스리프트(부분변경) 모델도 선보인다. 상반기에 마이바흐 GLS와 벤츠 EQA, EQB 등 3종, 하반기에 G클래스 1종을 내놓는다. 이에 맞서 지난해 수입차 왕좌를 탈환한 BMW도 신차를 쏟아낸다. 올해 7종의 신차 출시를 예고했다.먼저 상반기에 X2와 iX2, 4시리즈(쿠페·컨버터블) 3종을 선보인다. 2세대로 완전 변경을 거칠 X2는 쿠페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으로 역동적 디자인에 커브드 디스플레이 등으로 상품성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iX2는 X2를 기반으로 처음 선보이는 전기차다.BMW의 주력 쿠페·컨버터블 모델인 4시리즈는 2020년 2세대 데뷔 이후 부분변경에 나선다. 상반기 2도어 쿠페와 컨버터블을 먼저 출시한 후 하반기 중 4시리즈 4도어 모델 그란 쿠페, 전기차 버전 i4를 추가로 출시할 예정이다.연말에는 BMW 대표 고성능 세단 M5와 주력 중형 SUV X3가 데뷔한다. 두 신차 모두 완전변경 모델이다. 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4.01.29 07:00
자동차

그랜저, 2년 만에 왕좌 탈환 예약...수입차 1위 벤츠 E클래스

현대차의 그랜저가 승용차 부문에서 올해 '국산 베스트 셀링카'를 예약했다. 22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와 한국수입차협회(KAIDA)에 따르면 올해 1∼11월 가장 많이 팔린 국산 승용차는 그랜저로 10만4652대 판매됐다. 같은 기간 판매량 2위인 기아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쏘렌토(7만7743대)와 비교해 2만7000대 가까이 많이 팔렸다. 이에 따라 지난해 쏘렌토에 밀려 2위로 내려앉은 그랜저는 2년 만에 왕좌를 탈환할 전망이다.3∼5위는 기아 카니발(6만4552대), 기아 스포티지(6만4010대), 현대차 아반떼(6만222대) 순이다.수입차 모델 중에서는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가 같은 기간 2만2211대의 판매량으로 1위를 질주 중이다. 2위는 판매 대수 1만8907대를 기록한 BMW 5시리즈이다. 그다음으로 메르세데스-벤츠 S클래스(9742대), 아우디 A6(7363대), 렉서스 ES(7179대) 순으로 나타났다.지난해에도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가 연간 판매량 2만8318대로 '수입 베스트 셀링카' 1위를 했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3.12.22 10:03
자동차

벤츠 vs BMW...전기차 경쟁도 후끈

수입차 '맞수' 메르세데스 벤츠와 BMW의 1위 경쟁이 전기차 부문으로 번지고 있다.9일 한국수입차협회에 따르면 벤츠와 BMW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전체 판매량에서 엎치락뒤치락하며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벤츠는 지난달 6533대를 판매해 수입차 1위를 기록했다. BMW는 5664대로 2위를 차지했다.지난 2월에만 해도 브랜드별 등록 대수는 BMW가 6381대로 벤츠(5519대)를 제치고 1위였다. 이에 따라 1분기 누적 판매량은 BMW(1만8134대)와 벤츠(1만4952대)로 나타났다. 격차는 3200여 대다.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양사는 전기차 부문에서도 치열한 1위 경쟁을 벌이고 있다.벤츠는 올해 1분기 1572대의 전기차를 판매하며 수입 전기차 판매량 1위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1분기 728대보다 두 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벤츠에 이어 2위는 990대의 전기차를 판매한 BMW가 차지했다. BMW도 1년 전(450대)보다 판매량이 두 배 이상 증가했다.업계는 지난해 벤츠(8만1016대)와 BMW(7만8554대)의 전체 판매량 차이가 2400여 대에 불과했던 만큼, 올해는 전기차 판매 실적에 따라 수입차 왕좌의 향방이 달라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는 가솔린, 디젤 등 내연기관차의 판매량이 크게 줄어든 반면 전기차는 크게 증가하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며 "따라서 올해 양사의 전기차의 성적에 따라 수입차 1위 자리도 충분히 뒤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BMW는 올해 전기차 신차를 잇따라 출시, 수입차 1위는 물론 수입 전기차 1위의 자리까지 넘보고 있다.BMW는 최근 소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iX1을 출시했다. iX1은 이미 벤츠가 출시해 인기를 끌고 있는 소형 전기 SUV EQA와 경쟁할 전망이다.BMW 또 연내 5시리즈의 전기차 모델인 i5도 선보인다. BMW는 지난해 7시리즈를 출시한 뒤 순수 전기차인 i7도 함께 출시했다. BMW의 베스트셀링카인 5시리즈의 완전변경 모델인 5시리즈와 함께 출시되는 i5는 벤츠의 럭셔리 전기세단인 EQE와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BMW 관계자는 "i4가 최초의 그란쿠페 전기차인만큼 세단과 쿠페 모델을 좋아하는 고객들에게 반응이 좋다"며 "지난해 i7 등 전기차가 출시됐고 올해 i5와 iX1 등 다양한 세그먼트의 전기차를 출시하며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BMW에 맞서 벤츠도 신차 공세에 나선다.이미 지난 1월 EQS SUV를 출시했다. 3분기엔 EQE SUV도 선보인다. EQE SUV와 고성능 전기차 AMG EQE 53 4MATIC 등 새로운 전기차도 올해 추가적으로 출시할 계획이다.벤츠 관계자는 "소형부터 대형까지 모든 차급에서 전기차 라인업을 갖춰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힐 것"이라고 말했다.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3.04.10 07:00
자동차

BMW-벤츠 앞서거니 뒤서거니 '수입차 왕좌' 쟁탈전

BMW와 메르세데스 벤츠가 수입차 왕좌를 두고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양사의 1위 경쟁은 2018년 BMW 디젤차 화재 사건 이후 처음이다. BMW가 지난 9월까지 4개월 연속 수입차 시장에서 월간 판매 1위를 달려왔는데, 10월에는 벤츠가 선두 자리를 재탈환했다. 올해 누적 판매실적은 BMW가 근소하게 앞서는데, 두 브랜드 간 격차가 수백 대 수준에 불과해 남은 11~12월 불꽃 튀는 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두 회사 모두 대기 수요가 충분한 가운데 연말까지 물량을 얼마나 확보하느냐에 따라 승부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 BMW 제친 벤츠, 다시 선두로 9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벤츠는 10월 국내 시장에서 7717대의 완성차를 판매하며 BMW(6754대)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BMW는 지난 9월까지 4개월 연속 수입차 시장에서 월간 판매 1위를 이어왔는데 10월 벤츠가 선두 자리를 재탈환했다. 아우디가 2637대, 쉐보레가 1586대, 폭스바겐이 1114대 등으로 뒤를 이었다. 벤츠가 다시 월간 1위를 탈환하면서 BMW가 앞서가던 올해 누적 판매량 격차도 한층 줄었다. BMW는 올해 1~10월 누적 6만4504대를 판매하며 수입차 브랜드 1위 자리를 지켰다. 벤츠는 6만3791대로 턱밑까지 추격했다. 지난달에는 BMW가 7405대의 완성차를 판매하며 벤츠(5481대)와 격차를 벌렸지만 10월 상황이 역전된 것이다. 이에 7년 만에 수입차 왕좌를 노리던 BMW에도 비상이 걸렸다. BMW는 수입차 브랜드별 집계를 시작한 2003년 이후 대부분을 수입차 최다 판매 브랜드로 있었다. 그러다 2015년 벤츠에 1위 자리를 내줬다. 이후 벤츠는 작년까지 6년 연속 1위를 유지해왔다. BMW는 2018년 불거진 화재사고로 주춤한 적도 있으나 국내 시장에 공격적으로 물량을 배정하면서 꾸준히 선두권을 지켰다. 업계 관계자는 "불과 2015년 전만 해도 BMW는 수입차 시장 '절대강자'였다"며 "올해 수입차 왕좌를 지키려는 벤츠와 되찾으려는 BMW 간 연말 판촉 전쟁은 불가피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뜨거워지는 판촉 경쟁 BMW와 벤츠 간 판매 경쟁은 이달 시작과 함께 무섭게 달아오르고 있다. 당장 BMW는 지난달에 이어 이달에도 할인 폭을 대폭 늘렸다. BMW 영업점 관계자는 “10월부터 5시리즈 할인이 크게 늘었다”며 “특히 월말에는 일부 모델 대상으로 1300만원까지 할인이 적용되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달에는 할인이 소폭 감소했지만, 중순 이후에는 상황이 다시 바뀔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 이달 BMW 5시리즈는 600만~1000만원 상당 할인 혜택이 제공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6시리즈도 1000만원대 할인이 적용 중이다. BMW가 연말 공격적으로 할인을 늘린 데는 10월부터 벤츠 물량이 다시 늘어난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BMW는 또 신차 공세에도 나선다. 이달 3일 7세대 3시리즈 페이스리프트(부분변경) 세단·투어링 모델을 국내 출시했다. 3시리즈는 벤츠 C클래스보다 판매량이나 인지도 면에서 앞서 나가고 있는 모델이다. 여기에 7세대 '7시리즈' 풀체인지(완전변경) 모델도 이달 공식 출시를 기다리고 있다. BMW의 플래그십 세단으로 절대적인 판매량은 많지 않지만, 전기차 'i7'도 출격을 대기 중이다. BMW의 공세에 벤츠도 다양한 신차 라인업으로 맞불을 놓고 있다. 기존 베스트셀링 모델인 프리미엄 세단인 E클래스, S클래스는 물론 동급의 전기차 라인업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달 30일 국내 출시한 전기 세단 ‘EQE’가 대표적이다. 지난달 벤츠의 1등 공신인 E클래스 기반 전기차다. 회사 측에서도 거는 기대가 크다. 요하네스 슌 벤츠코리아 부사장이 “국내 고급 전기차 시장의 판도를 뒤바꿀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자신했을 정도다. 실제로 EQE는 1억원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출시 직후 170대가 팔릴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벤츠는 지난 6월 S클래스 세그먼트의 전기차 모델 ‘EQS’도 출시해 프리미엄 전기 세단 라인업을 갖췄다. 다만 벤츠는 BMW처럼 큰 폭의 가격 할인은 없다는 입장이다. 벤츠 관계자는 "가뜩이나 물량이 부족한 상황이라 별도의 특별한 할인 계획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관건은 물량 업계에서는 양사 모두 이미 출고 대기 고객이 넘쳐나고 있기 때문에, 남은 두 달 동안 어느 브랜드가 더 공격적으로 물량을 확보하느냐에 따라 승부가 갈릴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벤츠, BMW 인기 모델의 경우 구매자가 없기보다는 대기 물량이 없어 차를 팔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최근 반도체 이슈가 완화되면서 물량이 풀리고 있어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양사 모두 독일 본사로부터 물량을 늘리기 위해 노력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BMW 관계자는 "“반도체 이슈에도 꾸준한 한국 물량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며 "연말 7시리즈 물량도 최대한 많이 확보해서 점유율 확대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벤츠 관계자 역시 "E클래스, S클래스 등에 대해 수요가 많은 것을 파악하고 있고, 최대한 물량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2.11.10 07:00
자동차

수입차 판매 1위 달리는 BMW 또 '화재 악몽' 걱정

BMW코리아가 판매실적 호조에도 맘 편히 웃지 못하고 있다. 잇따른 화재사고로 브랜드 이미지에 또 한 번 타격을 입고 있기 때문이다. '맞수' 벤츠를 제치고 수입차 판매 1위를 달리고 있는 가운데, 자칫 화재사고가 7년 만의 수입차 1위 탈환에 제동을 걸진 않을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4개월 연속 1위 승승장구 12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 승용차 신규 등록 대수는 2만3928대로 집계돼 지난해 같은 달(2만406대)보다 17.3% 증가했다. 지난 8월(2만3850대)보다는 0.3% 증가해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눈길을 끄는 부분은 BMW의 선전이다. 지난달 브랜드별 등록 대수를 살펴보면 BMW는 7405대 판매해, 메르세데스 벤츠(5481대)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아우디 1812대, 폭스바겐 1470대, 쉐보레 1162대, 지프 1025대, 볼보 881대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BMW는 월간 판매량에 이어 누적 판매량에서도 벤츠를 넘어섰다. 지난 9월까지 BMW는 5만7750대를 판매했고 벤츠는 5만6074대가 판매됐다. 지난 6월까지 벤츠가 3만9197대 팔리며 3만7552대 팔린 BMW보다 앞섰지만 7~9월 모두 BMW가 월간 판매량 1위를 기록하며 누적 판매량 순위도 뒤바뀐 것이다. 9월까지 누적 점유율은 BMW가 28.84%, 벤츠가 28.01%다. BMW의 성장 비결은 세단과 SUV의 고른 판매가 꼽힌다. 실제 올해 9월까지 5시리즈(1만4185대)와 X5(5335대)가 각각 수입 베스트셀링 모델 2, 4위를 차지하며 톱5 안에 들었다. 이어 3시리즈(4912대), X3(4688대), X7(3908대), X6(3754대)가 BMW의 판매를 뒷받침하며 나란히 수입 베스트셀링 모델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차량용 반도체 등 부품난으로 인한 물량 차질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일부 옵션을 제외하고 차를 판매하는 일명 ‘마이너스 옵션’ 전략도 한몫했다는 평가다. BMW는 벤츠와 달리 마이너스 옵션 방식을 채택해 인기 차종의 물량 공급에 속도를 내고 있다. BMW의 마이너스 옵션 차량은 20~40대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BMW가 지난 2019년 12월부터 시작한 온라인 판매 채널 'BMW 샵 온라인'도 판매 실적 호조에 힘을 보태고 있다. 2020년 온라인 판매는 단 500대에 그쳤지만 2021년에는 5251대가 팔리면서 수입차 업계 가운데 온라인 판매 시장에 가장 성공적으로 안착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올해에도 고성능 라인인 M에디션을 포함해 다양한 차량을 국내에 들여와 온라인으로 판매하고 있다. 지난 2월에는 업계에서 처음으로 온라인 추첨 구매 방식을 도입한 'M4 컴페티션 x KITH 드로우' 행사도 진행했는데, 4대 판매에 2만4000명이 넘게 참여해 6060대 1이라는 기록적 경쟁률을 보이기도 했다. 이로써 BMW는 7년 만의 연간판매 1위 탈환에 가까이 다가서게 됐다. 이제 올해 남은 기간은 4분기 3개월뿐이다. 일찌감치 한국 시장에 진출해 수입차 시장을 선도해온 BMW는 2009년부터 2015년까지 7년 연속 1위 자리를 지켰다. 하지만 2016년 벤츠에게 1위 자리를 내준 뒤 지난해까지 6년 연속 2위에 머무르는 아쉬움을 겪기도 했다. 잇따른 화재사고가 발목 잡나 다만 일부에서는 최근 잇따라 발생한 BMW 차량 화재사고가 수입차 왕좌 탈환에 악영향을 끼치진 않을지 우려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BMW는 지난달에만 2대의 차량이 불에 타는 사건이 발생했다. 지난달 17일 경남 창원시 한 도로를 주행 중이던 BMW 차량에서 원인 모를 화재가 발생해 차체가 전소했다. 운전자는 주행 중 차량 밑에서 연기가 피어오르는 것을 발견하고 차를 세운 뒤 급히 대피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BMW 차량 화재는 불과 4일 후에도 이어졌다. 지난달 21일 오전 인천 서구 신현동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주차된 BMW 차량에서 불이 나 32분 만에 진화됐다. 이 불로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BMW 차량과 인근에 주차된 차량 2대 등 3대가 모두 타고 차량 2대가 일부 불에 탔다. 최근에도 BMW 차량 화재사고는 발생하고 있다. 지난 2일 경기도 화성시 평택화성고속도로 광명 방향 향남IC 부근을 주행 중이던 BMW 승용차에서 불이 났다.화재 차량은 BMW 5시리즈인 것으로 알려졌다. 차량 운전자는 보닛에서 연기가 피어오르자 갓길에 차를 세운 뒤 동승자와 함께 하차해 다치지 않았다. 경찰은 자세한 화재 경위를 조사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BMW 화재사고가 잇따르면서 소비자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며 "BMW가 보다 적극적으로 화재 원인에 대한 조사에 나서고, 사고 방지책도 내놔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BMW는 지난 2016~2018년 일부 차량의 엔진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EGR) 불량으로 화재사고가 잇따라 발생했다. 이에 '불나는 자동차 1위'라는 오명의 타이틀과 함께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가중돼 판매량이 급감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검찰은 지난 5월 당시 화재사고와 관련해 BMW코리아 법인과 임직원을 자동차관리법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긴 상태다. 차량 결함 관련 자료를 정부에 제출하지 않거나 결함 관련 표현을 삭제하고 제출했다는 것이 수사 결과다. 더 큰 문제는 BMW의 화재사고가 끊이질 않는다는 점이다. BMW코리아는 지난 2018년 차량 연쇄 화재 사건 이후 지난해까지 같은 원인으로 총 183건의 화재가 발생했다. 같은 기간 BMW코리아의 리콜 횟수도 2702건으로 가장 많았다. 올해 역시 지난 8월까지 총 63건의 화재사고에 연루됐다. 9월 2건, 10월 1건을 포함하면 총 66건의 화재사고가 발생한 셈이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BMW의 1만 대당 화재 건수는 1.07대로, 누적 등록 대수가 10만 대 이상인 자동차 업체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며 "화재사고로 추락했던 BMW가 또다시 화재사고라는 악재를 만났다. BMW코리아가 이번 사태를 어떻게 수습할지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2.10.13 07:00
경제

[이주의 차] 쌍용차, '뉴 렉스턴 스포츠&칸' 외

쌍용차, '뉴 렉스턴 스포츠&칸' 출시...2519만원부터 쌍용자동차가 4일 정통 픽업 '뉴 렉스턴 스포츠&칸'을 출시했다. 신형 스포츠&칸은 파워트레인 성능을 강화하고 국내 픽업 모델 최초로 첨단 커넥티드카 시스템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운전자 안전을 위한 첨단 주행 안전 보조시스템(ADAS) 기능은 16개 추가했다. 성능이 향상된 2.2 LET 디젤 엔진과 아이신 6단 자동변속기가 조합됐다. 최고출력은 202마력, 최대토크는 45.0㎏·m로 각각 8%, 5% 개선됐다. 가격은 2519만~3985만원으로 책정됐다. 2021년 수입차 베스트셀링카 '벤츠 E클래스' 메르세데스 벤츠의 중형 세단 'E클래스'가 지난해 수입차 베스트셀링 모델 1위를 차지했다. 5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벤츠 E클래스는 지난해 총 2만6109대가 팔려 수입차 왕좌에 올랐다. 이어 BMW 5시리즈(1만7740대), 아우디 A6(1만2273대), 벤츠 S클래스(1만543대), 테슬라 모델3(8898대) 순으로 집계됐다.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판매도 벤츠 독차지했다. 벤츠의 준대형 SUV인 GLE(6856대)가 6위를 차지해 SUV 판매 1위에 올랐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2.01.06 07:00
경제

[이주의 차] 아우디 A6 외

10월 수입차 베스트셀링카 '아우디 A6' 아우디 A6가 지난달 수입차 왕좌에 올랐다. 10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 집계에 따르면, 아우디 A6는 지난달 1271대가 팔리면서 지난해 같은 기간(301대) 대비 판매량이 4배 이상 증가했다. BMW 5시리즈(1262대)에 비하면 딱 9대 차이로 ‘수입 중형 세단 1위’의 왕관을 차지했다. 메르세데스 벤츠 E클래스와의 차이는 꽤 크다. 같은 기간 E클래스는 622대가 팔리면서 A6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아우디 A6가 중형 세단의 최강자로 거듭난 건 그간 출고되지 않았던 물량이 지난달 대거 풀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BMW, 11월 온라인 한정 에디션 5종 출시 BMW코리아가 오는 16일 오후 3시 11월 온라인 한정 에디션 5종을 출시한다. 뉴 4시리즈 그란 쿠페의 온라인 한정 에디션인 뉴 420i 및 뉴 420d 그란 쿠페 M 스포트 퍼스트 에디션과 함께, 라인업 최초의 사륜구동 모델인 뉴 M3 컴페티션 M xDrive와 뉴 M4 컴페티션 컨버터블 M xDrive의 퍼스트 에디션이 국내 최초로 판매된다. BMW 뉴 X4의 출시를 기념하는 뉴 X4 M40i 퍼스트 에디션도 준비됐다. 모든 모델은 온라인 판매 채널인 'BMW 샵 온라인'을 통해 판매된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1.11.11 07:00
경제

"적수가 없다"…올해도 판매 1위는 현대차·벤츠

올해 역시 국내에서 가장 많은 차종을 판매하며 점유율 1위를 차지한 완성차 브랜드는 국산 현대·기아차, 수입 메르세데스 벤츠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 달력의 마지막 장이 남았지만, 그동안 벌어진 2위와의 격차가 상당해 1위가 유력한 상황이다. 베스트셀링카도 국산차는 현대차 '그랜저'가, 수입차는 벤츠 'E클래스'가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그랜저는 2017년 이후 매년 10만대 이상 판매되는 꾸준한 인기몰이로 4년 연속 판매왕 자리는 떼 놓은 당상이 됐다. E클래스 역시 2018년과 2019년에 이어 세 번째 판매왕 자리를 목전에 뒀다. 부동의 1위 현대·기아차…4년째 1위 그랜저 20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올해(1~11월) 총 71만9368대를 판매했다. 코로나19 여파에도 지난해 동기(67만5507대) 대비 6.5% 증가한 기록이다. 11월 누적 기준으로는 창사 이래 최대치다. 시장 점유율도 48.80%로 국내 완성차 시장 1위를 기록했다. 기아차도 올해 국내 시장에서 사상 최대치 경신이 확실시된다. 기아차의 올해 11월까지 누적 국내 판매량은 51만3543대다. 시장 점유율은 34.85%다. 직전 최대치는 2016년 53만5000대인데, 월 5만대 안팎의 판매고를 올리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무난하게 신기록을 세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현대·기아차는 국내 완성차 시장에서 83.65%라는 압도적인 점유율을 기록했다. 올해 국내에 판매된 차량 10대 중 8대 이상이 현대·기아차였단 얘기다. 뒤를 이어 르노삼성은 8만7929대를 판매했다. 전년 대비 14.4% 성장한 수치다. 점유율은 5.96%를 기록했다. 이밖에 쌍용차가 전년 대비 18.3% 감소한 7만9439대를, 한국GM이 지난해보다 8.9% 증가한 7만3695대를 기록했다. 시장 점유율 각각 5.38%, 5.00%다. 쌍용차를 제외한 국내 완성차 업체 모두 판매량을 늘린 상황에서도 현대·기아차가 입지를 더욱 확대한 것은 신차들이 강력한 힘을 발휘한 영향이다. 올해 1분기 월평균 3000대 정도가 팔렸던 아반떼는 4월 7세대 모델이 출시되면서 한 달에 8700대 이상이 팔리고 있다. 총 판매 대수는 7만9363대로 8만대에 육박한다. 신형 아반떼는 사전계약 9일간 1만6849대가 계약되면서 흥행을 예고했다. 투싼은 4세대 모델이 나온 뒤 2000대 안팎이던 월 판매가 7490대로 뛰었다. 기아차의 신차들도 마찬가지다. 3월 중순 나온 4세대 쏘렌토는 사전계약만 2만6000대를 넘겼고 2분기부터 한 달에 8700대 가까이 팔리면서 총 7만6892대 판매를 기록 중이다. 카니발은 4세대 모델이 나온 뒤인 9월부터 석 달간 1만대 이상이 팔리고 있다. 카니발은 사전계약 하루 만에 2만3000명의 고객이 몰렸고 전체 기간으로 보면 3만2000여 대가 계약됐다. 지난해 카니발 총 판매 대수의 50%가 넘는 수치다. 작년 말에 나온 차들도 큰 역할을 했다. 현대차 그랜저는 11월까지 13만6384대를 판매하면서 4년 연속 베스트셀링카 자리를 예약했다. 2위(현대차 포터·8만7932대)와 5만대 정도 차이로 앞서 있어 자리를 내줄 가능성은 사실상 없다. 기아차 K5는 7만9518대로 아반떼와 3위 다툼을 하는 중이고 셀토스는 4만7000여 대로 소형 SUV 왕좌를 유지하고 있다. 수입차는 '벤츠 천하'…E클래스가 '효자' 수입차 시장에서는 벤츠가 경쟁업체와의 비교가 무색할 정도로 독주를 이어가고 있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벤츠는 올 1~11월까지 6만7333대를 판매했다. 같은 기간 수입차 전체 판매량 24만3440대 중 27.66%에 해당하는 수치다. 수치상으로 작년 대비 2400여 대 줄었으나, 코로나19로 물량이 부족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선방했다는 게 업계 평가다. 주요 경쟁 상대인 BMW(5만2644)와의 격차도 1만대 이상으로 벌렸다. 월평균 판매량을 고려할 때 남은 한 달간 순위가 뒤집힐 가능성은 극히 낮다. 2003년 한국 법인을 세운 벤츠는 성공 가도를 달리고 있다. 연간 판매량은 2012년 2만389대, 2013년 2만4780대, 2014년 3만5213대, 2015년 4만6994대로 성장세를 이어왔다. 2016년과 2017년에는 5만6343대, 6만8861대를 팔았다. 단일 브랜드 가운데 5만 대와 6만 대 고지를 가장 먼저 밟았다.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7만798대와 7만8133대를 팔아 7만대 고지도 처음으로 넘었다. 올해도 월 판매량이 6000대 이상인 것을 고려하면 7만대 돌파가 유력해 보인다. 벤츠가 2016년~2020년 5년 연속 '왕좌'를 지킬 수 있었던 건 E클래스 덕분이다. 지난달 수입차 베스트셀링 모델은 1479대 팔린 벤츠 E250이 차지했다. 10월 부분변경 모델 론칭과 동시에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모습이다. 이전 모델까지 합치면 올해 E클래스의 총 누적 판매량은 2만6607대에 달한다. 경쟁 차종인 BMW 5시리즈의 판매량(1만9731대)을 한참 앞선다. 이 밖에 준중형 C클래스(5045대) 플래그십(최상위) 세단 S클래스(5897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GLC(6345대) GLE(3881대) 등의 약진도 두드러졌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 속에서도 국내 자동차 시장은 국산차 수입차 할 거 없이 지난해보다 큰 폭으로 성장했다"며 "특히 올해는 현대·기아차와 벤츠 등 기존 강자들의 점유율 ‘쏠림 현상’이 심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0.12.21 07:00
경제

BMW vs 벤츠 '정면승부'…5시리즈·E클래스 10월 동시 출격

국내 수입차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메르세데스 벤츠와 BMW가 '진검승부'를 펼친다. 각사의 베스트셀링 모델인 E클래스와 5시리즈 신형 모델을 이달 나란히 선보인다. 향후 이 두 모델의 판매 실적에 따라 수입차 시장 순위가 갈릴 전망이다. '5시리즈' 드디어 출시…수입차 1위 노린다 포문은 BMW코리아가 열었다. 지난 5일 7세대 5시리즈의 부분변경(페이스리프트) 모델 ‘더 뉴 5시리즈’를 공식 출시했다. BMW는 지난 5월 한국에서 전 세계 최초로 더 뉴 5시리즈를 공개하는 '월드 프리미어' 행사를 열었다. 부분변경 모델이라고는 해도 해외 자동차 브랜드가 국내에서 신차를 최초 공개한 것은 처음이어서 눈길을 끌었다. 당시 BMW코리아는 올해 들어 4월까지 BMW 5시리즈 국내 판매량이 세계 1위를 기록하며 한국이 미국, 중국과 함께 중요한 시장이라는 사실이 입증됐다고 말했다. 실제로 5시리즈는 1995년 이후 누적 판매 20만대를 넘어서는 등 수입차 시장의 대표 세단으로 자리매김했다. 이에 힘입어 BMW코리아는 2015년까지 줄곧 수입차 판매 1위 자리를 지킨 바 있다. BMW코리아 내에서도 5시리즈 판매 비중은 40% 수준에 달한다. 특히 7세대 5시리즈는 국내에서 지난 4년간 총 7만7000대가 판매되며 올해 전 세계 시장 중 한국에서 가장 많이 판매됐다. 2018년 '화재 이슈'가 발생했으나 이를 극복하고 올해 다시 판매량을 늘리고 있다. 더 뉴 5시리즈는 이전 모델 대비 길이는 27mm 늘어났고 앞면에는 하나의 프레임으로 통합된 키드니 그릴과 ‘L’자형 주간주행등이 적용된 어댑티브 LED 헤드라이트가 탑재됐다. 후면부에는 새로운 3D 후미등과 함께 사각 형태의 배기 파이프를 적용했으며 실내는 센사텍 대시보드와 기어노브 주변의 블랙 하이글로스 트림을 새로 적용했다. 다양한 첨단 운전 보조 기능도 추가됐다. 액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차선 유지 어시스트 등으로 구성된 '드라이빙 어시스턴트 프로페셔널'과 함께 주변 교통상황을 계기판에 3D 그래픽으로 나타내는 '드라이빙 어시스트 뷰' 기능이 추가됐다. 진입 동선을 따라 최대 50m 거리까지 차량의 후진 조향을 도와주는 ‘후진 어시스턴트’ 기능 역시 기본으로 탑재된다. 국내에는 가솔린·디젤·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로 출시된다. 가격은 파워트레인(구동계) 종류와 차급에 따라 6360만~1억1640만원(이하 개별소비세 3.5% 기준)이다. 벤츠, 새로운 'E클래스'로 맞불 BMW에 맞서 벤츠코리아도 ‘베스트셀링’ 세단인 ‘더 뉴 E클래스’를 오는 13일 국내에 선보인다. 더 뉴 E클래스는 지난 2016년 출시된 10세대 E클래스의 부분 변경 모델이다. 올 3월 디지털 월드 프리미어 행사에서 세계 최초로 공개됐다. E클래스는 1947년 출시 이후 전 세계에서 1400만대 이상 팔린 글로벌 베스트셀링 모델이자, 벤츠의 성장을 견인해 온 핵심 모델이다. 특히 10세대 E클래스는 출시 3년 만인 작년 7월 수입차 역사상 최초로 단일 모델 10만대 판매 기록을 달성했다. 올해 상반기 수입차 판매량 순위에서도 E3004매틱(5517대)과 E 250(3959대)이 각각 1위와 3위를 차지하는 등 변함없는 인기를 과시하고 있다. 부분 변경된 더 뉴 E클래스는 완전 변경 수준의 디자인 변화를 꾀했다. 전면부는 보닛 위의 파워돔과 새롭게 디자인된 풀 발광다이오드(LED) 헤드램프로 더욱 다이내믹한 인상을 준다. 뒷부분은 트렁크 라인 안쪽까지 새로운 디자인의 분할형 테일램프를 적용했다. 실내는 증강현실(AR) 내비게이션이 포함된 MBUX 시스템 등 다양한 편의 기능과 정전식 지능형 스티어링 휠, 두 개의 12.3인치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와이드 스크린 콕핏 디스플레이 등으로 안락해졌다. 가솔린과 디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고성능 메르세데스-AMG 등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선보일 예정이다. 부가세를 포함한 가격은 6450만∼1억1940만원이다. 벤츠코리아 관계자는 “완전 변경 수준의 디자인 변화다”고 설명했다. 수입차 1위 경쟁 잣대 업계는 양사의 신차 판매 대결이 4분기 수입차 1위 싸움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벤츠와 BMW는 한국 시장에서 수입차 왕좌를 놓고 다투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카이즈유에 따르면 지난 9월까지 등록현황이 벤츠는 5만3771대로 수입차 시장 점유율 27.6%를 차지해 1위를 달리고 있다. 이어 BMW가 4만1791대 판매로 점유율 21.5%를 기록하고 있다. 3위인 아우디의 점유율이 8.7%(1만7004대)인 것을 고려하면 선두 싸움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벤츠는 E클래스를 통해 업계 1위 자리를 지킨다는 방침이다. BMW는 지난 8월 3년 만에 벤츠를 이기고 판매 1위에 올랐던 것처럼 이번 신형 5시리즈를 바탕으로 연간 판매 1위를 탈환하겠다는 각오다. 업계 관계자는 “5시리즈와 E클래스 모두 브랜드 내 판매 비중이 높은 만큼 이번 신차의 판매 성적이 양사의 순위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0.10.08 07:00
경제

"신차 몰려온다"…수입 고급 세단 시장 경쟁 후끈

올 하반기 수입 플래그십(고급) 세단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볼보에 이어 BMW, 벤츠 등 수입차 브랜드들이 앞다퉈 대표 모델을 잇달아 출시하고 있어서다. 이들 업체가 신차 출시에 열을 올리는 데는 한국 시장이 '효자' 지역으로 부상한 영향이 크다. 세계 완성차 판매량이 급감하는 가운데도 한국은 K-방역과 개별소비세 인하 등을 앞세워 탄탄한 판매량을 유지하고 있다. 잇따른 신차 출시로 올 하반기 고급 세단 시장 경쟁은 그 어느 때 보다도 뜨거울 전망이다. 볼보, S90 앞세워 '수입차 빅4' 도전 17일 업계에 따르면 수입 세단 신차의 포문은 볼보자동차가 열었다. 지난 1일 신형 S90을 국내에 공식 출시하고, 브랜드 홍보대사 손흥민과 함께한 새로운 광고를 공개했다. 신형 S90의 눈에 띄는 변화는 5m 이상의 전장에서 나오는 넓은 실내 공간이다. 신형 S90의 전장은 5090mm로 이전 모델 대비 125mm 증가했고, 휠베이스는 120mm 늘어났다. 전면 그릴부의 '아이언마크' 모양이 변경됐고, 범퍼 하단부의 모양과 크롬 장식 부분이 변경됐다. 편의사항으로는 어드벤스드 공기 청정기능 및 미세먼지 필터, 대형 파노라믹 선루프, 휴대전화 무선충전(T8 제외) 및 2열 더블 C-타입 USB 등이 탑재됐다. 파워트레인은 순수 내연기관을 대체하는 250마력 B5 가솔린 마일드 하이브리드와 총 405마력 T8 트윈 엔진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및 8단 자동변속기 조합으로 출시된다. 시장 반응은 뜨겁다. 사전계약 기간에 2500대가 이미 판매됐다. 올해 국내 들여오는 초도 물량은 모두 완판됐으며, 사전계약 물량 대기 기간만 6개월 이상인 것으로 전해졌다. S90의 강력한 흥행 요소는 가격 경쟁력이다. S90의 국내 판매가는 각각 모멘텀 트림이 6030만원, 인스크립션이 6690만원, T8 AWD 인스크립션이 8540만원이다. 이전 모델 대비 엔진과 디자인, 차체 크기 등 큰 변화에도 불구하고 불과 100만원 향상된 가격으로 책정됐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이를 통해 수입차 플래그십 세단 시장에서 벤츠, BMW, 아우디 등 독일 3사의 프리미엄 브랜드와 경쟁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현 판매 추세대로라면 전체 판매에서도 이들 독일 3사에 이어 수입차 시장 판매량 4위까지도 넘볼 수 있다고 분석한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볼보의 1~8월 누적 판매량은 7929대로 전년 동기(6978대) 대비 13.6% 성장했다. 수입차 시장 전체로 보면 누적 판매 순위 6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5시리즈로 '왕좌 굳히기' 나선 BMW 지난 8월 수입차 판매 1위를 탈환한 BMW는 '신형 5시리즈'를 앞세워 왕좌 굳히기에 나선다. BMW코리아는 지난 10일 뉴 5시리즈의 사전계약 판매에 돌입했다. 뉴 5시리즈는 2017년 출시된 7세대를 기반으로 개발한 부분 변경차다. BMW는 한국시장이 중요하다고 판단해 5월 한국에서 세계 최초로 뉴 5시리즈 공개행사를 개최한 바 있다. 신차의 본격적인 인도 시점은 10월부터다. 뉴 5시리즈의 라인업은 총 8종에 달한다. 역대 국내 출시된 5시리즈 중 가장 많은 선택지다. 520i, 530i, M550i x드라이브 등 가솔린 5종에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를 적용한 523d 등 디젤 2종,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530e 등이 있다.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기술도 한층 진화했다. 뉴 5시리즈의 내비게이션에는 차로 변경이 필요한 시점을 미리 표시해주는 ‘조향 및 차로 유지 보조' 기능과 정체 구간에서 구급차량 등을 위해 차선에 가깝게 이동을 시켜주는 ‘비상차로 자동형성' 기능 등이 추가됐다. 뉴 530e는 도심 내 배출가스 제한 구역에 차량이 진입할 경우 순수 전기주행 모드로 자동 변환하는 ‘BMW e드라이브존’ 기능을 제공한다. 업계는 5시리즈의 출시로 BMW 전체 판매량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5시리즈는 한국에서 BMW 성장을 이끈 주역이자 가장 많이 팔린 라인업이다. 5시리즈는 BMW 코리아가 설립된 1995년부터 20만여 대가 팔렸다. 한국은 글로벌 BMW 시장 가운데 5시리즈 1위 시장이다. 벤츠, E클래스로 '수입차 1위 탈환' 재시동 BMW의 공세에 맞서 벤츠코리아는 10월 신형 E클래스를 내놓는다. E클래스는 BMW 5시리즈와 마찬가지로 브랜드 내 가장 많이 판매되는 대표 모델이다. 2017년 이후 3년 만에 내놓는 신차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신형 E클래스는 5시리즈보다 디자인 변경의 폭이 크다. 같은 부분변경 모델임에도 전·후면을 모두 바꿔 신차 수준의 변화를 꾀했다. 새롭게 디자인 뒨 풀 LED 헤드램프를 탑재했고 테일 램프도 새 디자인이 적용된 분할형으로 바꿨다. 여기에 정전식 핸즈-오프 감지 기능을 지원하는 스티어링 휠과 시속 60km 이하에서 차선을 감지하거나 감지할 수 없는 경우에도 차량 스티어링을 지원하는 액티브 스티어링 어시스트, 자동 주차를 지원하는 주차 패키지 등 차세대 운전 보조 시스템도 대거 적용했다. 국내 출시 모델은 디젤 하이브리드인 E300 de 및 E300 de 4매틱, 가솔린 하이브리드 모델인 E300e, E300e4매틱, 디젤모델인E200d, E220d, E220d4매틱, E400d, E400d4매틱, 가솔린 모델인 E200, E200 4매틱, E300, E450 4매틱, 메르세데스-AMG E53 4매틱, 메르세데스-AMG E63 S 4매틱 등이 출시된다. 업계 관계자는 "수입차 시장에서 가장 큰 판매 비중을 차지하는 두 모델의 신차 출시를 앞두고 있어 하반기 수입차 경쟁은 더욱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며 "두 회사의 신차 성과에 따라 연간 판매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0.09.17 07: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